사설] 노 전 대통령 서거 ‘언론 책임론’ 무겁게 여겨야 | |
사설2005.5.28(목) | |
![]() |
|
이런 주장이 많은 이들의 공감을 얻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조중동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노무현 전 대통령의 집권기간 내내 노 정권에 적대적인 태도를 보였다. 보수신문을 비판하는 이들은 노 전 대통령에 대한 적대적인 태도가 박연차 사건 보도에서도 그대로 이어져, 검찰이 흘리는 혐의사실을 여과 없이 그대로 받아쓰는 것은 물론, 회갑선물 시계의 경우처럼 오직 인간적 모욕을 주기 위해 본질과 관련 없는 내용을 보도하기도 했다고 본다. 물론 이들 언론의 보도가 비판자들이 생각하는 대로 악의에서 나온 것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다. 그러나 모든 혐의를 노 전 대통령에게 집중해 보도한 사실을 보면 그런 의혹 제기를 나무랄 수도 없다. 실제 악의가 아니었다 해도, 많은 문제를 내포한 보도들이 있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검찰의 입에서 나온 이야기에 전적으로 의존한 채, 진실에 접근할 만한 충분한 검증조차 없이 기사를 쏟아냈고, 수사 대상자의 인권은 아예 배려도 하지 않은 게 사실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 점에 관한 한 보수언론이나 다른 언론뿐만 아니라 <한겨레>도 자유롭지 못하다. 치열한 취재경쟁과 제작상의 한계 탓에 검찰 등 취재원의 입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취재 시스템의 문제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 언론계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취재관행의 문제점을 재검토하고, 피의자나 사회적 약자 보호 및 진실 규명을 위해 충분한 노력을 다하고 있는지 점검해야 한다. 조중동은 특히 자신들이 왜 이렇게 불신의 대상이 되는지 반성하고, 공정하고 진실한 보도를 통해 공익에 이바지하는 책임 있는 언론으로 되돌아와야 한다. <한겨레>도 이번 사태와 관련해 책임론을 무겁게 받아들여, 우리 자신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각오로 노력할 것을 다짐한다. |